흔히들 말하는 아기 재접근기는 아기 돌이 지나며 말귀를 알아듣고, 혼자서도 잘 노는 단계가 오면 " 이제 좀 살 만하다 "라고 싶었는데, 어느 날부터 다시 달라붙게 되는 시기가 다시 옵니다. 아무 이유 없이 울고, 떼쓰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시기에 아이는 엄마와의 관계를 다시 형성하는 " 아기 재접근기 " 일 확률이 높습니다.
ㅣ 엄마가 다른 존재임을 느끼는 아기 재접근기
미국의 대상관계 이론가인 마거릿 말러는 분리 개별화 이론을 통해 생후 16-24개월을 " 아기 재접근기 " 단계라고 정의 했습니다. 말 그대로 아이가 엄마에게 다시 접근하는 시기로, 세상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엄마로부터 독립해도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해 엄마와의 애책을 다시 형성하는 것입니다.
생후 6개월 동안 아이는 엄마와 깊은 감정적 결합을 형성해왔습니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아이는 주변 세상에 호기심을 느끼며 탐험하려는 욕구가 생깁니다. 처음에는 생소한 사람이나 물건에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지만, 걸음마를 배우며 그 행동 영역이 확장됩니다. 이로 인해 아이는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느끼게 됩니다. 걸음마 초기에는 아이가 외부 환경을 두려워하지 않고 탐험하려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후 16-24개월 사이에 들어서면, 아이는 자신과 엄마가 별개의 개체라는 사실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이전까지 느꼈던 무한한 자신감은 줄어들고, 외부 세상에 대한 불안감이 다시 생겨나게 됩니다. 이 때 아이는 엄마의 품이 그리워지지만, 동시에 자립하고 싶은 복잡한 감정을 겪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 아기 재접근기'의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l 아기 재접근기에 나타나는 의존과 독립의 두려운 갈등
아기의 재접근기는 아이의 행동에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엄마 따라다니기", "달아나기", "아니야", "싫어"와 같은 말들을 무한히 반복하게 되는데, 이는 아이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아이는 걸음마를 통해 세상을 탐험하는 즐거움을 발견하지만, 그 안에서도 자신의 한계와 좌절을 겪게 됩니다. 이로 인해 아이는 엄마에게 의존하려는 욕구가 강해지면서, 때로는 엄마에게 짜증을 내거나 요구하는 행동이 늘어납니다.
아기 재접근기는 많은 엄마들에게는 육아의 가장 힘든 시기로 여겨집니다. 아이는 이 시기에 엄마와의 감정적인 접촉을 강하게 원하면서도, 독립적으로 움직이려는 복잡한 감정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갈등 때문에 아이는 인형이나 젖꼬지와 같은 '중간 대상'에 강한 애착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아이는 자신의 원하는 바와 엄마의 원하는 바가 다를 수 있음을 깨닫게 되며, 이에 반발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변덕스러운 아이의 행동에 대처하는 것은 엄마에게도 큰 도전이 됩니다. 아이가 엄마에게 계속해서 다양한 요구를 하며 주변을 돌아다닐 때, 이러한 요구를 가능한 한 수용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엄마로부터 받는 만족감과 사랑은 그들이 격리와 개별화의 과정을 거치며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이 시기를 잘 극복하면 아이는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18개월 이후의 아기들은 세상 앞에서 스스로 발걸음을 뗄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발휘합니다.
그러나 자신이 예상했던 것보다 외부 세계는 더 크고 불확실하게 느껴지며, 불안한 순간에는 다시 엄마의 품을 찾게 됩니다. 마치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기처럼 엄마에게 껍니다.
아기의 재접근기에서는 아이가 그 상황을 피해가는 방법이 따로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기의 재접근기를 어떻게 함께 극복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ㅣ 아기의 재접근기와 부모의 정서적 지원의 필요성
아기의 재접근기는 많은 아이들이 겪게 되는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춘기처럼 개개인마다 경험하는 정도나 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의 따뜻한 정서적 지원이 핵심입니다.
재접근기가 저절로 지나가면서 아이는 자신과 엄마 사이의 적절한 거리감을 파악하게 되며, 주변의 사람들과도 새로운 관계를 구축합니다. 그리고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어나갑니다.
이 기간에 아이는 엄마에게서 받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경험을 일반화하지 않게 됩니다. 즉, 엄마의 행동이나 반응을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단순 분류하지 않게 됩니다.
이후에는 아이의 떼쓰는 행동이나 과도한 의존성은 감소하며, 자신의 일에 더 집중하거나 혼자 놀기도 합니다. 이는 아이가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고 그 안에서 활동하게 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심리학자 마거릿 말러의 연구에 따르면, 아기는 생후 25-36개월 사이에 자신이 누구인지 확실하게 알게 되며, 다른 사람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부모가 이 중요한 시기를 잘못 대처하게 되면 아이는 부모의 부재를 지속적으로 불안해하거나,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지 않는 부모를 '나쁜 엄마'로 여기게 될 수 있습니다.
ㅣ 아기의 재접근기: 공감의 힘
아기 재접근기에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아이가 허세를 부리거나 화를 낼 때, 단순히 '그만해'라고 말하기보다는 그 뒤에 숨어 있는 감정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할 때, 단순히 혼내기보다는 그 행동의 결과와 위험성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아이의 장난감을 뺏는다거나 때릴 때, 단순히 '그런 행동은 하지 마'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아이와 눈높이에 맞춰 그 행동의 올바르지 않음을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이 시기에 대근육 활동을 통해 세계를 탐험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공원이나 놀이터에서 아이가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활동을 함께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꽃이나 나무와 같은 자연을 직접 만져보게 하여 세상을 느끼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빠의 역할"은 재접근기에서 더욱 중요해집니다. 아이가 엄마에게만 의존하는 모습을 보일 때, 아빠는 더욱 적극적으로 아이와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아빠의 관여는 아이와 엄마 사이의 독립적인 관계 형성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ㅣ 첫번째 아기 재접근기가 끝나고 다시 찾아오는 2번째 아기 재접근기
아이가 다시 달라붙기 시작하는 제 2의 재접근기 인가? (tistory.com)
댓글